TTFB 속도(Time To First Byte Speed)

TTFB란 서버에 HTTP 요청이 보내진 후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가 첫 정보를 수신하는데(첫 번째 바이트를 읽는데 걸린 시간) 소요된 시간을 의미합니다. TTFB는 DNS 속도 측정 이후에 계산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지만 네트워킹에서 TTFB는 DNS를 포함한 네트워크 대기 시간이 포함됩니다.

TTFB 속도

1. TTFB 과정 3단계

1.1 TTFB 서버 요청

클라이언트도메인을 입력 후 웹 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서 서버 측으로 HTTP 요청이 전송됩니다. DNS 조회 시간이 TTFB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DNS 서버 및 서버가 지리적으로 멀리 있는 경우 데이터가 이동하는 거리의 지연 시간이 생길 수 있습니다.

1.2 TTFB 서버 처리

서버 요청 후 응답 받은 서버는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해야 합니다. 이에 대한 서버 처리에는 DB 처리, 스크립트, 캐시되지 않은 파일들, 최적화되지 못한 코드, 디스크 I/O 및 메모리 그리고 비효율 적인 서버 리소스와 같은 여러가지 이유로 TTFB 속도의 지연이 있을 수 있습니다.

1.3 클라이언트의 응답

서버의 요청 및 처리 후 클라이언트로 HTTP 요청이 다시 전송됩니다.(또는 처리된 TTFB)

클라이언트의 응답은 사용하는 인터넷의 영향도 받습니다. 와이파이 또는 사용 중인 ISP의 속도에 의해 TTFB의 속도도 영향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2. TTFB의 중요성

TTFB(time to first byte)는 최종 페이지를 불러들이는 속도와 동일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페이지 로드 시간이 빠르다면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중요한 것은 TTFB 속도가 빠르다면 그만큼 페이지 로드 시간은 더 줄어들 수 있다는 점입니다.

보통 100ms 미만의 속도가 좋은 TTFB로 보며 구글 페이지 스피드에서는 200ms 미만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3. TTFB 속도 측정

‘time to first byte’ TTFB 속도 측정 방법에는 크롬 개발자 도구, 구글 페이지 스피드, GTmetrix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GTmetrix의 경우는 속도 측정 후 퍼포먼스 탭에서 Browser Timings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GTmetrix TTFB 속도 확인

Similar Posts

  • [GA4] 구글 애널리틱스 서치 콘솔 연결 방법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구글의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애널리틱스 서치 콘솔 연결이 필요한 이유는 어떤 검색어로 유입되었는지 확인하는 것 뿐 아니라 검색 결과 페이지 노출 수와 순위, 노출 수 대비 순위 등을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목차1. TTFB 과정 3단계1.1 TTFB 서버 요청1.2 TTFB 서버 처리1.3 클라이언트의 응답2. TTFB의 중요성3….

  •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5개(무설치) 추천

    보통 가정에서 사용하는 Internet 상품은 100Mbps, 500Mbps, 1Gbps 상품 중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내가 사용하는 Internet 속도가 잘 나오는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인터넷 속도 평균 Mbps 등을 디테일하게 체크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설치나 로그인 없이 평균 인터넷 속도 측정이 가능한 6군데를 사이트 5군데를 사이트 리뷰 해 보겠습니다. 목차1. TTFB 과정 3단계1.1…

  • 한글 맞춤법 검사기-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N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한글 맞춤법 검사기는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와 네이버의 맞춤법 검사기 두 개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목차1. TTFB 과정 3단계1.1 TTFB 서버 요청1.2 TTFB 서버 처리1.3 클라이언트의 응답2. TTFB의 중요성3. TTFB 속도 측정 한글 맞춤법 검사기 정의 맞춤법 검사기(spell checker)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을 사전을 기반으로 검사하고 자동으로 올바른 형태로 변환해주는 기능입니다. 부산대학교 인공지능연구실과 나라인포테크가…

  • URL 디렉터리 구조 vs 플랫 구조: SEO 성능과 웹사이트 운영 효율

    구글의 검색엔진 최적화(SEO) 기본 가이드에 따르면, URL 디렉터리 구조를 통해 유사한 주제의 페이지를 그룹화하는 것은 검색 엔진이 사이트 구조를 이해하고 색인을 최적화하는 데 유리합니다. 특히 사이트의 규모가 크거나 페이지 수가 많을수록 디렉터리(폴더) 단위로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묶어 두면 크롤러가 페이지 관계를 파악하고 크롤링 빈도를 조정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플랫 구조도 관리 효율성과 URL 단순성 측면에서…

  • HTTPS란? SSL/TLS 보안인증서 개요 및 차이점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란 월드와이드웹(WWW)의 통신 프로토콜인 HTTP의 보안이 강화된 프로토콜 버전입니다. 통신의 인증 및 암호화를 위해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 코퍼레이션에서 개발한 넷스케이프 웹 프로토콜이 HTTPS입니다. 목차1. TTFB 과정 3단계1.1 TTFB 서버 요청1.2 TTFB 서버 처리1.3 클라이언트의 응답2. TTFB의 중요성3. TTFB 속도 측정 HTTPS를 이용하는 SSL 보안인증서 SSLSecure Socket Layer은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 전 기존 HTTP…

  • [SEO] Blog Post vs. Article: 차이점은 무엇인가?

    웹사이트 콘텐츠를 발행할 때 [블로그 포스트&기사] 둘 중에 어떤 콘텐츠를 발행하는 것이 맞는지 SEO 관점에서 고민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구글링으로 검색한 웹페이지의 콘텐츠가 Blog 게시물인지 기사인지 생각해 보신 적이 있나요? Blog Post vs. Article 두 종류의 콘텐츠는 어떤 차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비즈니스 관점에서 어떤 콘텐츠를 게시하는 것이 더 나을지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1. TTFB…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6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