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우분투 설치(22.04.5) | 우분투 root 초기 비밀번호 생성
오라클의 VitualBox로 우분투 설치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먼저 IOS 파일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 구글에서 [우분투 서버 다운로드]를 검색해서 설치하고자 하는 우분투 버전을 확인 후 다운로드를 진행합니다. 저의 경우는 22.04.5 버전을 설치하기로 했기에 예전 버전을 찾은 후 진행하였습니다.
✅ VitualBox 우분투 ISO 설정
다운로드가 완료 되었다면, VitualBox에서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누릅니다.
가상 머신 이름 입력 후 ISO 이미지를 가져올 폴더에서 파일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종류], 하위 유형, 버전이 설정됩니다.
CPU와 메모리 설정을 진행합니다.
가상 하드 디스크의 용량을 설정합니다.
설정 된 내역을 다시 한번 [요약]에서 확인합니다.
가상 머신을 시작합니다.
🔲 EFI 활성화
EFI 활성화”는 VirtualBox에서 UEFI 부팅 모드를 활성화하는 옵션입니다. 이 옵션을 켜면 가상 머신에서 UEFI 모드로 부팅되며, GPT 파티션 테이블과 /boot/efi 파티션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우분투 설치
Install로 설치를 진행합니다.
🔲 언어 및 키보드 구성
설치 언어는 한국어가 없으며, 영어 설치로 진행합니다.
🔲 기본 및 최소 설치 옵션 | 네트워크 | 프록시 주소 설정 | 아카이브 미러 구성
🔲스토리지 | 파티션 구성
기본적인 설정이 모두 완료 되었습니다. AVAILABLE DEVICES에서 남은 용량 없이 모두 사용됨을 확인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 계정 생성 | SSH 설정 | 서버 구축 시 선택 항목
우분투에서 사용할 계정을 생성합니다.
이후 우분투 프로 사용 여부 묻는 페이지는 그대로 패스하고 일반용 체크 그대로 진행합니다.
마지막으로 서버 구축 시 설치할 패키지 목록이 나오는데 SSH 접속 후에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기에 그대로 다음 단계로 넘어 가겠습니다.
설치 진행 중 화면이 나오고 이후에 설치가 완료되면 재부팅을 진행해 주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 SSH 프로그램으로 접속
VirtualBox로 설치 된 우분투에 접속하기 위해 네트워크 설정을 NAT에서 어뎁터 브리지로 변경 해 줍니다.
우분투 접속 후 [ip a] 명령 입력 후 enp0s3의 inet 주소를 확인하여 접속하려는 SHH 프로그램에 주소 입력 후 접속을 합니다.
✅ 우분투 root 초기 비밀번호 생성하기
우분투를 설치하면 처음에는 root 비밀번호가 생성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우분투 root 초기 비밀번호 생성을 진행해야 합니다. 먼저 우분투 설치 시 처음에 생성한 계정으로 로그인 합니다.
로그인 후 sudo passwd root 명령어를 입력해서 비밀번호를 생성합니다.
ubuntu@:~$ sudo passwd root
New password:
Retype new password:
passwd: password updated successfully
ubuntu@:~$ su -
Password:
root@:~#
우분투에 대해 검색하다 보니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에 좋은 내용과 자료가 많아 링크를 같이 남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