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Administrator 계정 활성화/비활성화 | 삭제 [윈도우10, 11]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윈도우 10, 11과 같은 운영 체제에서 최고 관리자 권한을 가진 계정 이름은 ‘Administrator’입니다. Administrator 계정은 리눅스의 root 사용자처럼 최고 관리자 권한으로 윈도우 운영 체제의 일반 사용자 계정에서 제한된 모든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개인용 데스크탑에서 윈도우 설치 시 생성된 계정은 기본적으로 Administrator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계정 추가가 필요한 경우 Administrator 계정의 활성화를 통해 계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Ⅰ. Administrator 계정 활성화

윈도우 관리자 계정 활성화 방법은 검색에 CMD를 입력해서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후에 활성화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CMD 명령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명령 프로프트에서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yes’를 입력해서 활성화를 진행합니다.

Microsoft Windows [Version 10.0.19045.4046]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C:\WINDOWS\system32>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yes
명령을  실행했습니다.

C:\WINDOWS\system32>

1. 활성화 된 Administrator 확인

활성화 된 Administrator 계정의 확인은 [제어판] > [사용자 계정] > [다른 계정 보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제어판
  • [제어판] >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 후
윈도우 제어판-사용자 계정
  • 한번 더 [사용자 계정]을 클릭합니다.
  • [다른 계정 관리]를 클릭합니다.(로컬 계정에는 이미 Administrator 권한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dministrator 계정이 추가 된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Administrator 이름 변경

아래 명령어 실행으로 계정 이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C:\WINDOWS\system32>wmic useraccount where name='administrator' call rename name='변경할 계정 이름'
(\\DESKTOP-TGJBEG0\ROOT\CIMV2:Win32_UserAccount.Domain="DESKTOP-TGJBEG0",Name="administrator")->rename() 실행 중
메서드를 실행했습니다.
Out 매개 변수:
instance of __PARAMETERS
{
        ReturnValue = 0;
};

C:\WINDOWS\system32>
  • Administrator 이름 변경이 적용 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비밀번호의 생성 및 변경이 가능합니다.
윈도우 제어판-계정 관리-계정 변경

Ⅱ. Administrator 계정 비활성화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no’ 기본 명령으로 비활성화가 가능하지만 ‘윈도우 최고 관리자’라 등과 같이 이름을 변경 했을 경우 이름을 아래와 같이 입력해서 비활성화를 진행합니다.

C:\WINDOWS\system32>net user Administrator /active:no
C:\WINDOWS\system32>net user 윈도우 최고 관리자 /active:no

예시를 위해 ‘윈도우 최고 관리자’로 만들 이후 제대로 된 비활성화가 되지 않아 영문으로 변경 후 비활성화를 진행했습니다. 동일한 윈도우 10,11 이더라도 설정이 다를 수 있어 테스트 한 데스트톱의 문제일 수도 있겠지만 영문으로 변경 후 비활성화 및 재부팅을 하니 만들었던 계정은 완전 삭제가 되었습니다.

Ⅲ. Administrator 계정 삭제

계정 삭제는 윈도우 검색 창에 [netplwiz]을 입력 후

윈도우 검색창-netplwiiz 입력
  • 삭제할 계정 선택 후 삭제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Similar Posts

  • [Chrome]크롬 다크모드 설정 및 해제 방법(PC)

    구글 크롬 앱을 사용할 때 눈의 피로를 덜기 위해 다크모드 설정을 찾는 경우가 있습니다. 크롬 테마 설정을 이용해 크롬 다크모드 설정 및 해제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Ⅰ. Administrator 계정 활성화1. 활성화 된 Administrator 확인2. Administrator 이름 변경Ⅱ. Administrator 계정 비활성화Ⅲ. Administrator 계정 삭제1. 크롬 다크모드 설정 방법 ▼ 크롬 브라우저에서 우측 상단…

  • 원노트 빠른 실행 도구 모음 설정 방법-2016 PC Ver

    원노트 빠른 실행 도구 모음 기능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빠른 실행 도구 모음은 좌측 상단의 아이콘을 통해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차Ⅰ. Administrator 계정 활성화1. 활성화 된 Administrator 확인2. Administrator 이름 변경Ⅱ. Administrator 계정 비활성화Ⅲ. Administrator 계정 삭제1. 원노트 빠른 실행 도구 모음-설정 방법 먼저 파일 > 옵션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빠른 실행 도구 모음…

  • [MS] 윈도우 핀 번호 설정 및 삭제하기(Windows 10, 11)

    윈도우 핀 번호 설정은 윈도우 10에서 새롭게 설정된 기능입니다. 네트워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 방지를 목적으로 별도의 장소에 개인키를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목차Ⅰ. Administrator 계정 활성화1. 활성화 된 Administrator 확인2. Administrator 이름 변경Ⅱ. Administrator 계정 비활성화Ⅲ. Administrator 계정 삭제1. 윈도우 핀 번호 설정 먼저 윈도우 [설정]을 클릭합니다. ▼ 윈도우 설정 화면으로 들어 왔다면,…

  • 업노트(UpNote): 쉽고 효율적인 노트 앱

    기존에 사용하는 원노트가 무겁고 사용함에 있어 편하지만 조잡한 면이 있어 에버노트, 노션, 옵시디언, 깃랩 등의 사용을 고려하다가 업노트(UpNote)에 대해 알게 되었고 업노트를 설치해 보니 여러가지 장점이 있어 업노트를 업무에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초기에 만들어진 노트라서 빠르고 가벼울 수 있지만 이 점 또한 앞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이고, 직관적인 점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무료 버전은 노트가 50개로…

  • Xshell 시작 세션: 로컬 셸로 변경

    Xshell을 처음 설치하고 실행하면 기본적으로 Quick Start 창이 새 탭으로 열립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Xshell 시작 세션을 로컬 셸 화면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목차Ⅰ. Administrator 계정 활성화1. 활성화 된 Administrator 확인2. Administrator 이름 변경Ⅱ. Administrator 계정 비활성화Ⅲ. Administrator 계정 삭제✅ Xshell Quick Start 기본 설정에서는 Xshell 시작 시 [Quick Start] 화면이 자동으로 열리도록 되어…

  •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오프라인 사용법 2가지: QR코드 스캔 및 QR주문 결제 방법

    네이버의 ‘간편 결제’ 서비스인 네이버페이 간편결제는 온라인·오프라인 결제로 나뉩니다.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오프라인 결제는 다시 ‘네이버페이 QR결제‘ 및 ‘네이버페이 QR코드 스캔‘ 방법 2가지로 나뉘어집니다. 네이버페이의 2가지 결제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오프라인 현장 결제인 QR결제 및 QR코드 스캔 결제를 진행하려면 네이버 앱 우측 상단 Pay를 클릭해서 네이버페이로 접속합니다. 목차Ⅰ. Administrator 계정 활성화1. 활성화 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