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품경제: 정의와 유래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거품경제 또는 버블경제(영어: Economy bubble)는 부동산, 주식, 부채, 또는 이에 준하는 자산 가격의 급속한 상승으로 인한 경제를 뜻합니다. 자산에 대한 거품이 발생하는 동안 자산의 내재 가치를 크게 초과하는 가격에서 특정 자산이 거래됩니다.

초기에는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경제 거품에 대해 인식하지 못합니다. 이후 거품은 버블 붕괴로 이어진 후에 사람들은 버블이었단 사실을 인식하게 됩니다.

거품경제 (버블 경제-Economy bubble)

거품경제 용어의 유래

버블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것은 근대 유럽의 3대 버블 중 하나인 1711~1720년 남해회사 버블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버블 붕괴와 같은 위기보다 기업 자체의 부풀려진 비싼 주식을 의미했습니다. 특정 자산에 대한 버블로 제일 많이 알려진 네덜란드 튤립 파동이 있었습니다.

남해회사 버블

금융버블의 유형

거품의 유형에는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는 주식과 부동산이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특정 자산에 대한 버블로 튤립 파동을 들 수 있습니다.(물론 튤립에 대한 선물에 대한 거래였으므로 주식 버블로 볼 수 있습니다.)

1. 주식 버블

주식 버블의 대표적인 사례로 인식하는 것은 2000년 대 닷컴 버블과 네덜란드 튤립 파동이 가장 대표적인 예로 들 수있습니다. 때때로 사람들은 특정 산업이 새로운 미래 기술로 빠른 성장을 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기업의 매출이 보장되지 않았더라도 관련 산업의 경우 빠른 주가 상승을 블러 일으키기도 합니다.

닷컴 버블은 미국과 한국 그리고 독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현상으로 한국의 경우 상장폐지 된 ‘골드뱅크’의 PER은 9999배가 되는 믿을 수 없는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닷컴버블 (.com 버블)

2. 부동산 버블

일본은 한국전쟁 특수와 함께 지속적인 초고도 성장을 했습니다. 1985년 플라자 합의 이후 일본은 저금리 정책과 대출 규제 완화 정책을 펼치게 됩니다. 기업이 설비 투자를 해서 기업 경쟁력 강화에 목적을 두었지만 기업은 부동산에 투자하게 되고 전반적으로 부동산과 주식 버블이 발생하게 됩니다.

특히 대출을 받아 구입한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부동산을 사는 결과에 이르러 투기는 점점 과열 되었습니다. 2020년 대 이후 한국의 경우 일본의 부동산 버블의 전철을 밟을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또 대표적인 부동산 버블로는 전 세계에 경기침체를 불러 일으킨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3. 부채 거품

부채 거품은 존재하지 않는 수요에 충족하기 위해 신용을 기반으로 투자를 한 것을 의미합니다. 실물 자산을 담보로 하지 않은 너무 많은 양의 대출은 부채 디플레이션으로 끝을 맺게 됩니다. 통화 위기가 발생하게 되며, 부채 거품의 사례 중 하나로 많은 경제학자들이 세계 20년대 미국의 버블 이후 이어진 경제 대공황을 사례로 보고 있습니다.

거품경제의 원리

거품경제가 작동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상품의 가치가 실제 가치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형성할 때 발생합니다. 많은 투자자와 자금이 몰리면서 발생하며, 거품이 터지면 상품의 가격은 빠르게 하락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버블경제는 시장 가치를 뛰어넘는 자산 가격의 급속한 상승이 특징입니다.
  • 빠른 상승 이후 빠른 폭락을 맞이하면서 버블붕괴가 시작됩니다.
거품경제 (or 경제버블)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재무상태표 활용 자산(첫번째)

    목차거품경제 용어의 유래금융버블의 유형1. 주식 버블2. 부동산 버블3. 부채 거품거품경제의 원리 ■ 재무상태표 활용 첫번째-자산 항목 ‘재무상태표 활용 첫번째-자산’ 항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자산 =부채+자본 이라는 공식을 이해해야 합니다. 기업이 창업을 하고 기업을 운영함에 있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은 크게 외부차입(부채)과 투자자(주주)의 투자(자본금)가 있습니다. 자산 = 부채+자본 ‘재무상태표’ 의 목적은 기업이 ⓐ어떻게 자금을…

  • 외감법과 분식회계

    목차거품경제 용어의 유래금융버블의 유형1. 주식 버블2. 부동산 버블3. 부채 거품거품경제의 원리1. 외감법(외부감사법) ‘외감법’ 이란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령으로 외부감사법의 줄임 말입니다. (2020년부터 유한회사도 적용되며, 구글 코리아(유) 등 외국 기업도 공시 의무가 추가됩니다.) 외부감사법에 해당하는 법인은 외부의 공인 회계사에게 외부 감사를 받고 감사 보고서를 공시해야 합니다.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외부감사법’의 정의는…

  • [Self Employment] 칼로리 높은 사진과 적당한 메뉴 종류와 상권의 타깃층

    고객은 칼로리가 높은 사진을 좋아합니다. 뇌에 신호를 주는 음식은 고칼로리 음식과 저칼로리 음식을 비교 했을 때 각각 다릅니다. 롯데리아나 KFC를 생각 했을 때 로고보다는 철판에 구운 햄버거 패티, 기름에 튀긴 치킨이 생각날 것입니다. ‘칼로리 높은 사진’은 고객을 끌어 당깁니다. 목차거품경제 용어의 유래금융버블의 유형1. 주식 버블2. 부동산 버블3. 부채 거품거품경제의 원리1. 칼로리 높은 사진…

  • 2023년 중국 부동산 위기와 디플레이션 위기

    2023년 7월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0.3%, 생산자물가지수(PPI)는 -4.4% 각각 하락했습니다. 두 개의 물가 지수가 동시에 하락하는 것은 이례적인 상황으로 디플레이션 위기에 빠질 것이란 우려가 외신 보도를 통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 생산자물가지수(PPI: Producer Price Index)는 특정 국가나 지역에서 생산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중요한 경제 지표입니다. PPI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함께 인플레이션 및…

  • 2023년 신한은행 땡겨요 배달앱 순위:4위 차지

    ‘신한은행 땡겨요’가 출시된 지 1년 정도의 시간이 흘렀으며, 1년 동안 땡겨요는 가맹점 수를 순차적으로 꾸준히 늘려 나갔습니다. 신한은행 땡겨요 배달앱 순위는 4위로 배달의 민족, 요기요, 쿠팡이츠에 이어 차지한 순위가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여주진 않지만 꾸준한 성장을 1년 동안 이어 나갔다는 것입니다. 3월 6일 데이터앤리서치에 따르면, 뉴스, 커뮤니티, SNS, 유튜브 등의 12개 채널 23만 개…

  • 대손충당금과 대손상각비 차감계정 3가지 요소

    ‘대손충당금’ 내용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거품경제 용어의 유래금융버블의 유형1. 주식 버블2. 부동산 버블3. 부채 거품거품경제의 원리1. 대손충당금 (allowance for bad debts) 대손(bad debt)은 불량채권이며, 회수가 어려운 매출채권(외상매출금, 받을어음), 미수금 등을 채무자로부터 받지 못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충당의 뜻은 모자라는 것을 메워 채운다는 뜻입니다. 회사는 경험 상 매출채권 금액 중에 받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을…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10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