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y

  • 객단가 정의-고객 1인당 평균 매입액

    객단가란 고객 1인당 평균 매입액(구매금액)을 뜻하는 경제용어입니다. 자영업(self-employment)에서 중요하게 봐야하는 요소 중 일 평균, 주 평균, 월 평균 매출의 객단가입니다. 한 명의 손님이 지불한 금액의 평균 가격은 시간 대비 영업이익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영업에선 이를 중요하게 생각하게 됩니다. 1. 객단가 계산 방법 매출= 고객수*객단가입니다. 바꿔서 말씀드리면 객단가공식=매출 ÷ 고객수 라는 공식이 성립됩니다. 2….

  • 오리고기 담합-한국오리협회 및 9개 업체 정다운, 참프레, 성실농산, 삼호유황오리, 유성농산…

    오리 신선육의 가격 및 생산량을 담합한 9개 제조&판매업자 및 한국오리협회에 총 62억 원의 과징금이 부과 되었단 소식이2022년 6월 6일 JTBC 뉴스에 보도되었습니다. 오리고기 담합을 한 이들 업체는 지난 2012년 4월부터 2017년 8월까지 17차례에 걸쳐 오리 신선육의 판매 가격 또는 생산량을 합의하고 실행에 옮겼습니다. 오리 신선육 판매 가격의 기준이 되는 통오리 20호 가격(기준가격)을 공동으로…

  • 현금흐름 4분면 규칙과 금융교육과 금융지식:현금흐름 자산시스템

    로버트 기요사키의 ‘현금흐름 4분면’의 법칙은 자본주의에서 시스템 구축으로 돈을 버는 것이 미래를 결정한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미 2000년에 유명한 책에서 본격적으로 소개한 법칙이 나온 지 20년이 남짓의 시간이 지났습니다. 현금흐름 법칙의 2가지 포인트는 돈을 위해 일을 할지 돈이 나를 위해 일을 할지 결정하는 것입니다. “돈은 복구할 수 있지만 시간은 복구할 수 없다.”고 나폴레옹이…

  • BIS 자기자본비율 8%

    BIS 자기자본비율(Capital adequacy ratio)은 국제결제은행(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이 일반 상업은행에 권고하는 자기자본비율 수치입니다. BIS는 국제결제은행의 약자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IS는 자기자본비율이 8% 이상일 경우 안정적이라고 판단하여 합격점을 주고 있습니다. BIS 자기자본비율은 BIS비율이라고 줄여서 말합니다. 자기자본비율은 자기자본을 총자산으로 나눠서 계산합니다. 1. BIS비율 공식 BIS비율 공식 = ( 자기자본 / 총자산 ) * 100…

  • 환율이란? 원화 강세와 원화 약세의 의미(1달러 당 원화 금액)

    환율이란? 대외적인 돈의 값으로 서로 다른 통화의 비율입니다. 환율(exchange rate)은 ‘원/달러‘ 또는 ‘원/엔화‘ 그리고 반대로 ‘달러/원‘ 등과 같은 방식으로 나타내는 것을 TV 또는 네이버, 구글 등의 뉴스를 통해 많이 봤을 것입니다. 1. 환율이란-표시법 ‘원/달러’와 같은 내용으로 뉴스에서 환율이 오르고 내림을 발표하는데 표시법은 외국 통화 1단위 당 자국 통화의 수량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자국통화표시법’ or…

  •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비교(2020년 12월 10일~)·포인트 정리

    은행에서 사용했던 공인인증서가 2020년 5월 20일에 폐지 된다는 전자서명법 개정안이 국회 의결 후, 6월 9일 공포되었습니다. 2020년 12월 10일 공인인증서가 폐지 되었습니다. ‘공인인증서’란 이름이 폐지된 것이며, ‘공동인증서’란 명칭으로 서비스 되고 있습니다. 동시에 2020년 12월 10일 ‘금융인증서’가 금융결제원의 본인인증 서비스로 출시 되었습니다.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비교’하여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차이점을 순차적으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1. 공동인증서…

  • PMI 지수란

    주식 투자 시 PBR과 PER, ROE와 같은 주식 투자지표를 본다면, 전체적인 경제지표를 볼 때 보는 지수 중 하나가 PMI 지수입니다. 미국이 세계 경제의 중심인건 여전하기 때문에 미국을 중심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PMI 지수란 미국 공급관리자협회(The Institute of Supply Management, ISM)가 매월 400개 이상 기업의 구매 및 공급 관련 사항을 설문조사 한 결과를 산출한 지수입니다. PMI(Purchasing…

  • 신한은행 땡겨요 수수료 정리(2.2%)

    신한은행 땡겨요는 2021년 12월 22일 서울 광진구, 관악구, 마포구,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6개 지역에서 서비스가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베타 테스트 등의 과정을 거쳐 2022년 4월부터 서울 및 경기도 지역으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는 중입니다. ‘땡겨요‘는 이용자인 고객과 가맹점인 소상공인 및 배달라이더까지 상생할 수 있는 슬로건을 걸고 신한은행에서 추구하는 상생 어플입니다. 신한은행 땡겨요 수수료 및 땡겨요에…

  • 인플레이션 세금과 시뇨리지

    ‘인플레이션 세금‘이란 공식이 성립하는 이유와 ‘시뇨리지‘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1. 인플레이션과 주조화폐 역사 현대 사회 ‘인플레이션 세금 공식’을 설명하기에 앞서 주조 화페(금화,은화 등)의 시뇨리지 역사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1.1 주조화폐 시뇨리지의 역사 사례 ‘시뇨리지Seigniorage‘는 중세 유럽의 봉건 영주를 시뇨르Seigneur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봉건 시대 국왕과 영주는 조폐소에서 금화 또는 은화를 화폐로 찍어 낼 권한을…

  • 쿠팡이츠 수수료 비교 정리(2022년 4월~)

    2020년 1분기 단 건 배달 시장의 배달비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배달의 민족 배민1’과 쿠팡이츠 수수료가 논란의 중심에 있으며 이번에 쿠팡이츠 수수료 비교 정리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소비자는 소비자대로 식당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는 자영업자대로 부담해야 하는 금액이 커진 만큼 논란이 가열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 해 배달앱은 오히려 배달 수수료를 올려도 남는 게 없다는…

End of content

End of content